ㄴ 논어

논어 리인 8 / 하루를 살더라도

죄송이 2012. 5. 31. 20:38

 

 

子曰 朝聞道 夕死 可矣

자왈 조문도 석사 가의

 

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. 아침에 도를 들을 수 있다면 저녁에 죽더라도 좋겠다

 

 

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
 

 

사람은 왜 사는가?

이런 질문은 너무 거창해서 일상의 소소함과 맞지 않는 듯 여겨져 내가 품을 의문이 아닌 것처럼 여겨집니다.

그러나 살다 보면 문득문득 그런 고민을 하게 됩니다.

인간의 본성이란 것 자체가 존재론적 의문 투성이이기 때문이죠.

 

'도'란 것은 '자연'을 그대로 이르는 말이고

자연의 일부인 사람은 자연의 정확함과 치밀함에 경탄을 내뱉으며 그 존재론적 가치를 자연에서 다시 찾곤 합니다.

한없이 인자하면서도 무척이나 잔인하고

한번도 신뢰를 어기지 않을 것 같다가도 말도 안 되는 불행을 던져주곤 하죠.

 

내가 단 하루를 살더라도

온전한 '도'에 대해 완전히 알 수 있다면

그 삶이 헛되었다고 절대 얘기할 수 없을 것입니다.

그런 갈망을 던진다는 것 자체가

공자는 '好學 호학'에서 그 누구보다도 뛰어나다고 자부할 수 있는 근거였으며

'호인자'와 '오불인자'를 보지 못했다는 한탄의 받침이기도 합니다.

 

 

 

 

우리는 살면서

무엇을 이토록 갈망해 본 적이 있었는지

스스로 자주 되물어 봐야 할 것 같습니다.